벵골 문자는 벵골어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되는 문자 체계로, 모음, 자음, 숫자, 구두점 등으로 구성된다. 모음은 독립적인 형태와 자음과 결합하는 형태를 가지며, 자음은 다양한 형태의 결합을 통해 여러 소리를 표현한다. 벵골 문자는 10개의 숫자를 사용하며, 서양 문자와 유사한 구두점을 사용한다. 벵골어 문장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여지며, 각 문자는 가상의 사각형 안에 맞춰져 균일한 크기를 유지한다. 벵골 문자는 오디아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 등과 유사한 형태를 공유하며, 자음 결합, 발음 구별 기호 등을 통해 벵골어의 다양한 음성을 표현한다. 현재 벵골 문자는 유니코드 표준에 포함되어 있으며, 벵골어의 로마자 표기법과 문자 표준화에 대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벵골어 - 뉴에이지 벵골 문학 뉴에이지 벵골 문학은 차르야파다를 시작으로 여러 시대를 거쳐 발전했으며, 타고르의 노벨 문학상 수상 이후 다양한 경향을 보이며 방글라데시 독립 후에도 정치적, 종교적 어려움 속에서 지속적으로 발전했다.
브라흐미계 문자 - 타이 문자 타이 문자는 람캄행 대왕이 창제한 태국어 문자 체계로, 수코타이 문자를 기반으로 크메르 문자를 수정하고 성조 부호를 도입하여 태국어의 복잡한 음운 체계를 표기한다.
브라흐미계 문자 - 데바나가리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는 브라흐미 문자에서 유래한 아부기다 문자로 남아시아 지역에서 여러 언어를 표기하며, 상단의 가로획이 특징이고 유니코드를 통해 컴퓨터 입력이 가능하다.
아부기다 - 그으즈 문자 그으즈 문자는 고대 남아라비아 문자에서 유래하여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4세기 경 음성 표기가 도입된 26개의 자음 문자를 가진 아부기다 형태의 문자 체계이다.
아부기다 - 타이 문자 타이 문자는 람캄행 대왕이 창제한 태국어 문자 체계로, 수코타이 문자를 기반으로 크메르 문자를 수정하고 성조 부호를 도입하여 태국어의 복잡한 음운 체계를 표기한다.
벵골 문자는 모음과 모음 부호, 자음과 자음 군자, 부호와 기타 기호, 숫자, 그리고 구두점으로 나눌 수 있다. 모음과 자음은 문자로도 사용되고 부호로도 사용된다.
벵골 문자는 시다마트리카 문자에서 발전했으며, 데바나가리 문자와 유사한 글자도 있지만 형태가 크게 다른 글자도 있다. 데바나가리가 곡선적인 형태인 반면, 벵골 문자는 뾰족한 형태를 띤다. 또한, e/ai 모음 기호는 데바나가리에서는 자음 위에 표기되지만, 벵골 문자에서는 남인도 문자와 마찬가지로 왼쪽에 표기된다(ে|e|에bn, ৈ|ai|아이bn).[25]
벵골어는 역사적인 음운 변화로 인해 va는 ba와 동일한 발음이 되어 문자상으로 구분되지 않으며, w는 존재하지만 전용 문자가 없어 u 또는 o 뒤에 모음 글자를 추가하여 표기한다.[26] 또한 ya(য|ja|자bn)도 ja(জ|ja|자bn)와 동일한 발음이 되었지만, 어원에 따라 구분하여 표기하며, j (≒ 야행음)는 ya 글자에 점을 더한 전용 문자로 표기한다(য়|ẏa|야bn).[26]
다른 인도 문자와 마찬가지로, 자음에 모음 기호 없이 쓰인 경우에는 첨가 모음 a를 포함하지만, 이 a는 실제로는 ɔ, o 또는 무음 중 하나로 발음된다. 어떤 발음이 되는지는 어중 위치, 어원, 모음 조화 등 복잡한 요소에 따라 결정되므로, 철자만으로 발음을 항상 판단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27][28] 마찬가지로 æ와 e도 표기상으로는 구분되지 않는다.[27][29][30]
벵골 문자는 철자가 매우 보수적이다. 벵골어는 다른 신인도 아리아어에 비해 상당한 음운 변화를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고풍스러운 철자를 사용한다. 이 때문에 티베트어나 프랑스어의 정서법과 마찬가지로 철자와 발음의 관계가 복잡하다.[27] 예를 들어, 현대 벵골어에서는 모음 i와 u의 장단이 구분되지 않지만, 철자상으로는 구분하여 표기한다. 또한, 치찰음 ś শ্|ś|ㅅbn・ṣ ষ্|ṣ|ㅅbn・s স্|s|ㅅbn도 동일한 발음이지만(ʃ 일반적이나, 설첨음이 아닌 설두음이 뒤따를 때는 s), 구분하여 표기한다.[29]
자음군은 데바나가리와 마찬가지로 결합 문자를 사용하거나, hasanta 기호를 추가하여 첨가 모음이 없음을 나타낸다. 단, 자음 뒤의 y를 위한 전용 형태가 있으며, 첨가 모음이 없는 t를 나타내는 특수 문자(ৎ|খণ্ড ত|콘도 토bn)가 있다.[27] 실제 벵골어에서는 많은 자음군이 장음 또는 단순 자음으로 변화하며, 뒤따르는 모음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철자상으로는 변화 이전의 형태로 표기된다. 따라서, পদ্ম|padma|포드모bn(〈연꽃〉)는 실제로는 pɔddo로 발음되고,[29] লক্ষ্মী|lakshmī|로크히bn(〈락슈미〉)는 lokkhi로,[27] বৃক্ষ|br̥ksha|브리코bn(〈나무〉)는 brikkʰo로,[31] সত্য|satya|쇼토bn(〈진실〉)는 ʃottɔ로 발음된다.[32][33]
2. 1. 모음
벵골 문자는 11개의 모음 글자를 가지고 있지만, 실제 발음은 이보다 적다. 벵골어는 역사적인 음운 변화를 겪었지만, 철자는 보수적으로 유지되어 철자와 발음 간의 관계가 복잡하다.
벵골 문자의 모음은 স্বরবর্ণ|swôrôbôrnô|스워로보르노bn(모음 문자)라고 불린다. 벵골어의 7가지 주요 모음 중 6개와 2개의 복합모음을 표현한다.
모음이 음절 처음에 오거나 다른 모음 뒤에 올 때는 별도의 문자로 표기하고, 자음 뒤에 올 때는 부호(কার|kar|카르bn)를 사용한다. অ|ô|오bn 모음은 모든 자음에 내재된 모음으로 간주되며, 이 내재 모음이 없을 때는 자음 아래에 হসন্ত|hôsôntô|호손토bn(্)를 쓴다.
현대 벵골어에서는 ই|i|이bn와 ঈ|ī|이-bn, উ|u|우bn와 ঊ|ū|우-bn처럼 장단 구별이 사라졌지만, 철자상으로는 여전히 구분된다. 이는 산스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ঋ|ṛ|리bn는 실제로는 모음이 아닌 자음-모음 조합 রি|ri|리bn를 나타내지만, 모음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문자 목록에는 ঐ|oi|오이bn와 ঔ|ou|오우bn 두 이중모음만 있지만, 실제로는 더 많은 이중모음이 존재한다.
অ|ô|오bn (স্বর অ|shôrô ô|쇼로 오bn, "모음 ô")는 벵골 문자의 기본 내재 모음이다.
거의 열린 전설 비원순 모음 음은 현대 벵골어 정자법에서 여러 방법으로 표기된다.
ই|i|이bn 와 ঈ|ī|이-bn, উ|u|우bn 와 ঊ|ū|우-bn 모음음에는 각각 두 개의 자소가 있는데, 이는 산스크리트어의 단모음과 장모음을 표기하던 전통에서 비롯되었다. 이 문자들은 벵골어에서 더 이상 다르게 발음되지 않지만, ''tôtsômô''(토초모, 산스크리트어 차용어)에서 원래 산스크리트어 철자를 보존한다.
ঋ|ṛ|르bn 자소는 벵골어에서 모음 음소를 나타내지 않고 রি|ri|리bn 자음-모음 조합을 나타내지만, 벵골 문자 목록의 모음 섹션에 포함되어 있다.
모음음이 음절의 처음에 나타나거나 다른 모음 뒤에 오는 경우 별도의 문자를 사용한다. 모음음이 자음 뒤에 오는 경우에는 모음에 따라 자음 위, 아래, 앞 또는 뒤에 나타나는 부호를 사용하며, কার|kar|카르bn라고 한다.
অ|ô|오bn 모음은 모든 자음 문자에 내재된 것으로 간주된다. 자음 뒤에 내재 모음 অ|ô|오bn 가 없음을 나타내려면 হসন্ত|hôsôntô|호손토bn (্)를 자음 아래에 쓴다.
벵골어 음성 체계에는 많은 이중모음이 있지만, 문자 목록에는 ঐ|oi|오이bn 와 ঔ|ou|오우bn 두 가지만 있다.
2. 1. 2. 장모음
ী
순음
ঊ
ū/oobn
ূ
권설음
ৠ
ṝ/rribn
ৄ
치음
ৡ
ḹ/llibn
ৣ
벵골 문자에서 ইbn 와 ঈbn, উbn 와 ঊbn 모음은 각각 두 개의 자소를 갖는다. 이러한 중복은 이 문자가 단모음과 장모음을 모두 가진 산스크리트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던 것에서 비롯된다. ইbn ''i'' (হ্রস্ব ই|rôshshô i|단모음 ibn) 와 ঈbn ''ī'' (দীর্ঘ ঈ|dirghô ī|장모음 ībn) , 그리고 উbn ''u'' (হ্রস্ব উ|rôshshô u|단모음 ubn) 와 ঊbn ''ū'' (দীর্ঘ ঊ|dirghô ū|장모음 ūbn) 는 일반적인 구어체에서 더 이상 다르게 발음되지 않지만, 전통적인 이름과 함께 벵골 문자에 보존되어 있다. 그러나 이 자소들은 ''tôtsômô'' 벵골어 단어(산스크리트어에서 차용한 단어)에서 원래의 산스크리트어 철자를 보존하는 어원적 기능을 한다.
또한, ৠbn ''ṝ'' (দীর্ঘ ৠ|dirghô rri|장모음 rribn) 및 ৡbn ''ḹ'' (দীর্ঘ ৡ|dirghô lli|장모음 llibn)의 두 가지 장모음이 있었는데, 이는 산스크리트어의 특징 때문에 문자의 비디야사가르 개혁 중에 목록에서 제거되었다.
2. 1. 3. 복합 모음
벵골 문자에는 9개의 모음이 있으며, স্বরবর্ণ|swôrôbôrnô|모음 문자bn라고 불린다. 모음은 벵골어의 7개의 주모음 중 6개, 2개의 복합모음을 표현한다.
다음은 현대 벵골 문자 목록에 있는 복합모음을 나타내는 표이다.
발음
의존 모음
Palatoguttural
ঐ
ৈ
Labioguttural
ঔ
ৌ
ঐbn ''oi'' (স্বর ঐ|shôrô oi|모음 oibn) 및 ঔbn ''ou'' (স্বর ঔ|shôrô ou|모음 oubn)의 두 가지 이중모음만 문자 목록에 있지만, 벵골어 음성 체계에는 실제로 많은 이중모음이 있다.[11] 대부분의 이중모음은 কেউ|keu|/keu/bn와 같이 구성 요소 모음의 자소를 나란히 배열하여 나타낸다.
현대 벵골어에서는 몇몇 자음의 발음이 같아졌지만, 철자상으로는 여전히 구분된다. 예를 들어, ㅅ, ㅆ, ㅈ에 해당하는 문자가 여러 개 존재한다.[29]
역사적인 음운 변화로 인해, va는 ba와 같은 발음이 되어 문자상으로 구분되지 않는다. 는 존재하지만 전용 문자가 없어 u 또는 o 뒤에 모음 글자를 추가하여 표기한다.[26] ya(যbn)도 ja(জbn)와 같은 발음이 되었지만, 어원에 따라 구분하여 표기한다. (≒ 야행음)는 ya 글자에 점을 더한 전용 문자로 표기한다(য়bn).[26]
다른 인도 문자들과 마찬가지로, 자음에 모음 기호 없이 쓰인 경우에는 첨가 모음 a를 포함하지만, 이 a는 실제로는 、 또는 무음 중 하나로 발음된다. 어떤 발음이 되는지는 어중 위치, 어원, 모음 조화 등 복잡한 요소에 따라 결정되므로, 철자만으로 발음을 항상 판단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27][28]
9보다 큰 숫자는 위치 기수법의 10진법을 사용하여 벵골어로 쓴다. 소수점은 마침표 또는 점으로 표시한다. 쉼표는 큰 숫자의 자릿수를 구분하며, 천(হাজার ''hazar''), 십만 또는 라크(লাখ ''lakh'' 또는 লক্ষ ''lôkkhô''), 천만 또는 백 라크 또는 크로레(কোটি ''koti'') 단위를 나타낸다. 소수점 왼쪽의 첫 번째 자릿수는 세 자리, 이후 자릿수는 두 자리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숫자 17,557,345는 전통적인 벵골어로 ১,৭৫,৫৭,৩৪৫로 쓴다.
2. 4. 문장 부호
벵골어 문장 부호는 벵골어의 마침표에 해당하는 세로줄인 দাড়ি 'dari'(।)를 제외하면 서양 문자에서 채택되었으며 사용법도 비슷하다(쉼표, 반쌍점, 쌍점, 따옴표 등 영어와 동일).[1]
벵골어로 ঊর্ধ্বকমা 'urdhbôkôma'(윗반점)으로 알려진 아포스트로피는 পাটা 'pata' "plank"와 পাʼটা 'pa'ta' "the leg"에서와 같이 동형 이의어를 구별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1] 간혹 같은 목적으로 붙임표를 사용하기도 한다.( পাʼটা 의 대안으로 পা-টা 사용)[1]
2. 5. 벵골어 문장의 특징
벵골어 문장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로로 쓴다. 자음 자소와 모음 자소는 균일한 크기의 가상의 직사각형에 맞춰 쓰며, 자음의 크기는 복잡도에 관계없이 단일 자음과 동일하게 유지하여 분음부 모음 형태가 왜곡 없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벵골어 문장에서 쓰여진 단어는 일정한 간격으로 분리되며, 단어 내 자소 간 간격은 단어 간 간격보다 좁다.
라틴 문자, 키릴 문자 등 서양 문자와 달리, 벵골 문자는 মাত্রা 마트라(matra)라고 하는 수평선이 문자 위쪽에 그어져 있다. 마트라의 유무는 단어의 의미를 구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문자 ত ''tô''와 숫자 ৩ "3", 자음 ত্র ''trô''와 독립 모음 এ ''e''는 마트라의 유무로 구별된다.
벵골 문자의 구두점은 영어와 유사하며, 다리(দাড়ি, dari) (।)라는 마침표를 제외하고는 서양 문자에서 차용되었다. 벵골 문자에는 대문자가 없으므로 고유명사는 별도로 표시되지 않는다. 동음이의어를 구분하기 위해 어퍼 콤마(ঊর্ধ্বকমা, urdhbôkôma)나 하이픈을 사용하기도 한다.
벵골 문자는 철자가 매우 보수적이다. 현대 벵골어에서 음운 변화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고풍스러운 철자를 유지하고 있어 철자와 발음의 관계가 복잡하다. 예를 들어, 모음 i와 u의 장단은 발음상 구분되지 않지만, 철자상으로는 구분된다. 또한, 치찰음 ś শ্bn・ṣ ষ্bn・s স্bn는 모두 로 발음되지만 (설첨음이 아닌 설두음이 뒤따를 때는 ), 철자상으로는 구분된다.[29]
자음군은 결합 문자를 사용하거나, hasanta(비라마) 기호를 추가하여 첨가 모음이 없음을 나타낸다. 실제 벵골어에서는 많은 자음군이 장음 또는 단순 자음으로 변화하지만, 철자상으로는 변화 이전의 형태로 표기된다. 예를 들어, পদ্ম|padmabn (연꽃)는 로,[29] লক্ষ্মী|lakshmībn (락슈미)는 로,[27] বৃক্ষ|br̥kshabn (나무)는 로,[31] সত্য|satyabn (진실)는 로 발음된다.[32][33]
3. 벵골 문자와 관련 계통 문자와의 비교
벵골 문자는 데바나가리 문자, 오디아 문자, 싯담 문자 등 같은 계통의 문자들과 비교했을 때 몇 가지 유사점과 차이점을 보인다.
벵골 문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로쓰기를 하며, 자음 글자와 모음 글자는 일정한 크기의 가상 직사각형 안에 들어간다. 자음 군의 크기는 복잡성에 관계없이 단일 자음 글자와 동일하게 유지된다. 벵골 문자는 마트라(মাত্রা, ''matra'')라고 하는 수평 머리획에 글자들이 매달려 있는 형태를 띤다.
벵골 문자는 브라흐미 문자에서 파생된 시다마트리카 문자를 거쳐 초기 나가리 문자와 원 벵골 문자(가우디 문자)로 발전했다. 14-15세기경에는 벵골 문자, 마이틸리 문자, 오리야 문자로 분화되었다.[34]
3. 1. 독립 모음
벵골 문자는 11개의 모음 글자(grapheme)를 가지며, 각각 স্বরবর্ণbn ''swôrôbôrnô''(스워로본)라고 불리는 "모음 문자"이다. ''swôrôbôrnô''는 벵골어의 7가지 주요 모음음 중 6개와 2개의 모음 이중모음(주요 모음)을 나타낸다. 이들 모두 벵골어와 아삼어에서 사용된다.
"অbn" ''ô'' (''স্বর অbn shôrô ô'', "모음 ô") 는 벵골 문자의 기본 내재 모음(내재 모음)으로 발음된다.
거의 열린 전설 비원순 모음는 표준 벵골어의 주요 모음 중 하나이지만, 별도의 모음 기호가 할당되지 않았다. "অ্যাbn" ''æ''의 사용은 일반적이며, অ্যাসিডbn (산뜻)과 같이 사용된다. 이 음은 "এbn" ''e'' (''স্বর এbn shôrô e'', "모음 e") , "অbn", "আbn" [10] ''a'' (''স্বর আbn shôrô a'') 및 যফলাbn ''jôphôla''(যbn ''jô'' 자음 자소의 부호)의 조합을 사용하여 표기된다. /k/ কbn와 /æ/ 모음은 ক্যাbn로 표기된다.
모음음에는 "ইbn" ''i'' (হ্রস্ব ইbn ''rôshshô i'', "단모음 i") 및 "ঈbn" ''ī'' (দীর্ঘ ঈ ''dirghô ī'', "장모음 ī") 의 두 개의 자소가 있다.
모음음에는 "উbn" ''u'' (হ্রস্ব উ ''rôshshô u'') 및 "ঊbn" ''ū'' (দীর্ঘ ঊ ''dirghô ū'') 의 두 개의 자소가 있다.
벵골 문자는 모음과 모음 부호, 자음과 자음 군자, 부호와 기타 기호, 숫자, 그리고 구두점으로 나눌 수 있다. 모음과 자음은 문자로도 사용되고 부호로도 사용된다.
5. 발음 구별 기호 및 기타 기호
벵골 문자에서 사용되는 발음 구별 기호 및 기타 기호는 다음과 같다.
닿음에 붙는 기호
기호명
기능
IPA
়
호론토 기호 (hōshonto)
자음만을 나타냄
ং
오누슈샬 (ōnushshār)
연구개 비음을 추가함
ঃ
비쇼르고 (bishārgo)
다음 자음을 격음화함
/
ঁ
촌드로·핀두 (chōndrobindu)
자음을 비원음화함
্
조폴라 (jōfōla)
어중간·어말에서 자음을 격음화함
어두에서는, 어중간·어말에서 또는
6. 표준화
벵골 문자는 자음 군집이 다르고 때로는 매우 불규칙적인 형태로 표현된다. 따라서 전체 문자와 문자 조합이 약 350개로 매우 많아 읽는 법을 배우는 것이 복잡하다. 이슈와르찬드라 비디야사가르는 벵골어에 구두점을 도입하고 벵골어 알파벳을 표준화하기 위해 바르나파리차이라는 책을 썼다. 다카(방글라데시)의 방글라 아카데미와 콜카타(서벵골, 인도)의 포슈침봉고 방글라 아카데미와 같은 저명한 기관에서 벵골어 알파벳 표준화를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지만, 여전히 완전히 통일되지 않았다.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고풍스러운 문자 형태를 계속 사용하여 동일한 소리에 대해 여러 형태가 공존하기 때문이다.
7. 로마자 표기
벵골어를 라틴 문자로 표기하는 벵골어 로마자 표기는 여러 시스템이 개발되었지만, 벵골어의 음성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20] 로마자 표기 표준으로는 국제 산스크리트 음역 알파벳(IAST),[21] ITRANS,[22] 콜카타 국립도서관 로마자 표기[23] 등이 제안되었으나, 일본어나 산스크리트어처럼 통일되지 않았다. 벵골어 알파벳은 브라마 문자 계열에 포함되기도 하지만, 이 경우 벵골어의 실제 발음은 제대로 표현되지 않는다.
벵골 문자는 데바나가리 문자와 유사한 글자도 있지만, 형태가 크게 다르거나 모음 기호 표기 위치(e/ai 모음은 벵골 문자에서 왼쪽에 표기) 등에서 차이가 있다.[25]
역사적인 음운 변화로 인해 'va'는 'ba'와 동일하게 발음되어 구분되지 않고, 'ya'(যbn)는 'ja'(জbn)와 같은 발음이 되었지만 어원에 따라 구분된다.[26] য়bn는 'ya' 글자에 점을 더한 것이다.
자음에 모음 기호가 없으면 첨가 모음 'a'가 붙지만, 실제로는 , 또는 무음으로 발음되며, 와 는 표기상 구분되지 않는다.[27][28][29][30]
벵골 문자는 철자가 보수적이어서 실제 발음과 철자 사이에 차이가 크다. 예를 들어, 모음 i와 u의 장단은 구분되지 않지만 철자로는 구분되고, 치찰음 ś শ্bn, ṣ ষ্bn, s স্bn는 모두 로 발음되지만(설두음이 뒤따를 때는 ) 구분된다.[29]
자음군은 결합 문자를 사용하거나 비라마 기호를 추가하여 표현한다. 실제 발음에서 많은 자음군이 장음 또는 단순 자음으로 변하고 모음에도 영향을 주지만, 철자는 변화 이전 형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পদ্মbn padma(연꽃)는 로,[29] লক্ষ্মীbn lakshmī(락슈미)는 로,[27] বৃক্ষbn br̥ksha(나무)는 로,[31] সত্যbn satya(진실)는 로 발음된다.[32][33]
[1]
웹사이트
GAZETTE TITLE: The Manipur Official Language (Amendment) Act, 2021
http://manipurgovtpr[...]
2023-02-03
[2]
웹사이트
Manipuri language and alphabets
https://omniglot.com[...]
2023-02-03
[3]
웹사이트
Ancient Scripts
http://www.ancientsc[...]
2007-03-20
[4]
서적
Languages in South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Bengali alphabet
http://www.omniglot.[...]
2005-06-11
[6]
웹사이트
GAZETTE TITLE: The Manipur Official Language (Amendment) Act, 2021
http://manipurgovtpr[...]
2023-02-03
[7]
웹사이트
Bengali alphabet, pronunciation and language
https://omniglot.com[...]
2023-02-03
[8]
웹사이트
Manipuri language and alphabets
https://omniglot.com[...]
2023-02-03
[9]
서적
The Indo-Aryan Languages
Routledge
[10]
서적
Bengali: A Comprehensive Grammar (Routledge Comprehensive Grammars), 1
Routledge
[11]
문서
Different Bengali linguists give different numbers of Bengali diphthongs in their works depending on methodology
[12]
학술지
Bengali (Bangladeshi Standard)
http://www.reed.edu/[...]
2020-07-01
[13]
서적
The history of the Bengali language
Asian Educational Services
2000
[14]
학술지
The Phonemes of Bengali
Charles A. Ferguson and Munier Chowdhury
[15]
문서
ৎ (khôndô tô "part-tô") is always used syllable-finally and always pronounced as /t̪/.
[16]
문서
-h and -ng are also often used as abbreviation marks in Bengali
[17]
웹사이트
বিসর্গবিধি ও উচ্চারণ
https://draminbd.com[...]
2022-11-14
[18]
뉴스
সহজ বাংলা বানানের নিয়ম
https://www.dailyjan[...]
2019-05-04
[19]
문서
See Chowdhury 1963
[20]
문서
In Japanese, there is some debate as to whether to accent certain distinctions
[21]
웹사이트
Learning International Alphabet of Sanskrit Transliteration
http://www.sanskrit-[...]
Gabriel Pradiipaka & Andrés Muni
2006-11-20
[22]
웹사이트
ITRANS – Indian Language Transliteration Package
http://www.aczoom.co[...]
Avinash Chopde
2006-11-20
[23]
웹사이트
Annex-F: Roman Script Transliteration
http://varamozhi.sou[...]
Bureau of Indian Standards
2006-11-20
[24]
웹사이트
Bengali
http://www.ancientsc[...]
2008-02-02
[25]
문서
Salomon (2007) p.80
[26]
문서
Bagchi (1996) p.399
[27]
문서
Salomon (2007) p.82
[28]
문서
Bagchi (1996) pp.399-400
[29]
문서
Bagchi (1996) p.401
[30]
문서
æは e(ে)のほかに ya(্য)または yā(্যা)とも表記される
[31]
문서
[32]
서적
বাঙ্গালা ভাষার অভিধান
দি ইণ্ডিয়ান্ পাব্লিশিং হাউস
[33]
문서
[34]
문서
Salomon (1998) p.41
[35]
문서
রক্ত rakta ɾɔkta〈血; 赤〉
[36]
사전
পক্ব
[37]
논문
[38]
사전
ক্ষমা, বৃক্ষ
[39]
사전
অগ্নি
[40]
서적
বাঙ্গালা ভাষার অভিধান
ইণ্ডিয়ান প্রেস & ইণ্ডিয়ান্ পাব্লিশিং হাউস্
[41]
사전
ব্যাঘ্র
[42]
논문
[43]
논문
[44]
논문
[45]
논문
[46]
사전
অরণ্য
[47]
사전
অশ্বত্থ
[48]
사전
আত্মহত্যা
[49]
사전
সত্য
[50]
사전
পদ্ম
[51]
사전
ধ্বনিতত্ত্ব
[52]
사전
গ্রন্থ
[53]
논문
[54]
사전
অব্জ
[55]
사전
শব্দ
[56]
사전
ক্ষুব্ধ
[57]
사전
আম্র
[58]
논문
[59]
사전
কিঞ্জল্ক
[60]
사전
গল্প
[61]
사전
বিল্ব
[62]
사전
শিশ্ন
[63]
사전
শ্মশ্রু
[64]
사전
কৃষ্ণ
[65]
사전
পুষ্প
[66]
사전
গ্রীষ্ম
[67]
논문
[68]
사전
স্ফটিক
[69]
사전
চিহ্ন
[70]
사전
জিহ্বা
[71]
문서
হ্রস্ব
[72]
문서
কহ্লার
[73]
웹인용
Ancient Scripts
http://www.ancientsc[...]
2007-03-20
[74]
서적
Languages in South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75]
서적
The Indo-Aryan Languages
Routle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